티스토리 뷰

성기에 머가나요 관련 포스팅을 하면서 다양한 내용을 알게 되었습니다.  성기에 머가나면 성병일까요? 답은 맞기도 하고 아니기도 합니다. 오늘 알아볼 성기에 머가나요 는 곤지름 콘딜로마 HPV 인유두종 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요도염 비임균성 요도염 증상 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일단 성기에 머가나요 하면 남녀를 불문하고 겁부터나고 수치스러움이 생깁니다. 치료를 하기위해 병원에 가야하는데 뭔가 떳떳하지 못하고 부끄럽고 챙피하고 겁도 나는거지요.

성기에 머가나요 에 해당 하는것 중에 치명적인 성병이 있습니다.  바로 매독인데요. 



매독은 치료제가 없을 정도로 무서운 병이죠.  매독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시키는 방식으로 대응합니다.  그러나 매독의 경우 긴 잠복기가 있고 오늘 살펴볼 것 처럼 성기에 머가나요 하고 호소할 정도의 뚜렸한 증상은 없습니다.(발견하지 못할수 있습니다) 또한 요도염 증상등도 없습니다.

성기에 머가나요 하면서 보면 성기 주위에 작은 닭벼슬 모양 혹은 작은 돌기가 생기는 경우가 오늘 살펴볼 HPV 인유두종 바이러스로 인한 성기사마귀 즉 콘딜로마 곤지름이라고 불리는 질병입니다.  성병으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성관계에 의해 체내 점막 면역력이 약해 지면서 HPV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활성화되는 경우 생깁니다.  따라서 간단하게 성병의 종류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찾아보니 전세계 성인의 절반 이상 감염되는 흔한 바이러스이지만 질병의 형태로 나타나면 상당히 심각한 질병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 HPV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체내에 종양이나 신생물을 형성하기 때문이죠. 오늘 살펴볼 곤지름의 경우도 HPV바이러스로 인해 점막내 폴립을 형성해서 성기에 머가나요 증상이 되는 것입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로 발현되는 질환의 경우 남성의 경우는 성기사마귀 곤지름 정도로 비교적 명미한 질환이지만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까지 일으킬 수 있는 무서운 질환요소입니다.

따라서 성기에 머가나요 하면 즉시 병원에 가서  그 원인이 되는 HPV 바이러스 치료를 해야합니다.  곤지름만 치료한다면 또 재발할 수 있으며 여성에게 해당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듯 무서운 결과를 일으킬 수 있는 있는 곤지름에 대해 알아봅니다. 

곤지름 이란 ?

앞서 살펴본 성병은 아니지만 성매개 감염병의 하나입니다.  성관계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질환이라는거죠.  성기사마귀, 항문사마귀로 불리기도 합니다. 성관계이외에도 드물게는 곤지름을 만진 손으로 전파될 수도 있으며 출산시 아기에게 전염되거나 수혈시 혈액으로 감염될 수도 있습니다. 성병인 요도염 증상, 매독 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은 성관계에 의한 전염이며 기타의 경우는 1% 미만의 가능성입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 자체는 직경이 52~55nm의 정 이십면체 형태로 다양한 유전자형으로 인행 200여종이 있다고 합니다. 암으로 발전된 가능성이 큰 고위험군과 가능성이 낮은 저위험군으로 분유합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로 인한 질병들

자궁경부암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외에 자궁경부이형성증, 사마귀, 곤지름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서 중복으로 여러가지 질병이 생길수 있습니다.  흔히 볼수 있는 손발 사마귀도 이러 인한 질병입니다.


성기에 머가나요 질환의 치료방법
인유두종바이러스(HPV)로 인한 질병은 재발이 잦을 수 밖에 없습니다. 감기에 자주 걸리는 이유가 감기 바이러스는 없앨 수 없기 때문인것과 동일합니다.  증상에 따라서 비뇨기과 혹은 산부인과 등을 통해 질병의 종류에 대해 검사가 우선입니다.  인유두종바이러스 종류에 따라서 원인과 함께 치료를 할지 아니면 성기에 머가나요 에 해당하는 곤지름을 우선 치료할 지등의 다양한 옵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상은 성기에 머가나요 호소하는 경우에 대한 정리였습니다. 즐거운 하루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