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솔레톤정 비스테로이드성 염증소염제 빠짐없이 정리


오늘은 솔레톤정에 대해 알아볼텐데요.


CJ헬스케어 주식회사에서 나오는 백색의 코팅제로


잘토프로펜( Zaltoprofen ) 을 주 성분으로 합니다.




치과에서 발치후 혹은 수술후에 처방받은 약에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임산부는 절대 먹으면 안되는 임산부 금기등급 2등급입니다.


그외의 효과로는 만성 류마티스관절염, 골관절염(퇴행관절염)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바른 사용으로 오남용없이 사용했으면합니다.


해당 정보는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 


네이버 건강백과 의약품사전(http://terms.naver.com/medicineSearch.nhn), 


제조사홈페이지, 건강보험 심사평가원(http://www.hira.or.kr)의 정보를 종합했습니다.


솔레톤정


외형정보


원형의 흰색 필름코팅제로 전면에 식별표기 SL8, 마크가 있습니다.



성분정보


잘토프로펜 80mg 으로 저장방법으로는 기밀용기, 실온보관(1∼30℃)이 가능합니다.



바꿔먹어도 돼는 약


성분이 잘토프로펜인 약들입니다.


제품명

제품코드

업체명

보험상한가

프로펜정(잘토프로펜)

657501240

미래제약()

120

잘톤정(잘토프로펜)

646002080

()메디카코리아

147

자이로펜정(잘토프로펜)

648201630

()유영제약

147

유러펜정(잘토프로펜)

697100170

()한국피엠지제약

147

잘로펜정(잘토프로펜)

654302470

오스틴제약()

147

잘토펜정(잘토프로펜)

656201670

한불제약()

147

잘트론정(잘토프로펜)

645601610

대화제약()

147

라보펜정(잘토프로펜)

651200170

삼천당제약()

147


효능효과


염증 및 통증을 일으키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을 억제하는 소염진통제로


통증 및 염증을 수반하는 질환의 치료제로 사용합니다.


만성 류마티스관절염, 골관절염(퇴행관절염), 요통, 견관절주위염, 


경견완증후군의 소염, 전통에 사용됩니다.


또한 수술후, 외상후 및 발치 후의 소염·진통제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용법용량


○ 성인 : 잘토프로펜으로서 1회 80 mg을 1일 3회 경구투여하며,


   회투여의 경우 1회 80∼160 mg을 경구 투여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소염진통제 복용시 생길수 있는 위장장애를 많이 개선한 약이지만, 


평소 위장질환이 있는 경우 사전에 의사와 상의해야 합니다.


1. 경고


아래 상세한 경고가 있지만 요약하면 술은 이약의 부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고,


아스피린을 포함한 소염진통제를 복용중이라면 의사나 약사에게 그 사실을 알리세요 정도네요.




1) 매일 세 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위장출혈이 유발될 수 있다.



2) 심혈관계 위험 : 이 약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중대한 심혈관계 혈전 반응,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투여 기간에 따라 이러한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심혈관계 질환 또는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가 있는 환자에서는 더 위험할 수도 있다.


의사와 환자는 이러한 심혈관계 증상의 발현에 대하여 신중히 모니터링하여야 하며, 


이는 심혈관계 질환의 병력이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환자는 중대한 심혈관계 독성의 징후 및/또는 증상 및 이러한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 취할 처치에 대하여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한다.


3) 위장관계 위험 : 이 약을 포함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위 


또는 장관의 출혈, 궤양 및 천공을 포함한 중대한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상반응은 투여 기간 동안에 경고 증상 없이 발생할 수 있다. 


고령자는 중대한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위험이 더 클 수 있다.


투여 기간이 길어질수록 중대한 위장관계 이상반응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으나 단기 투여 시 


이러한 위험이 완전히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위장관계 궤양 또는 출혈의 증상 및 징후에 대하여 신중히 모니터링 하여야 하며, 중증의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의심되는 경우 즉시 추가적인 평가 및 치료를 실시하여야 한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를 중증의 위장관계 이상반응이 완전히 배제될 때까지 투여 중단하는 것도 치료법이 될 수 있다. 고위험군의 환자에게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와 관련 없는 다른 대체 치료제를 고려하여야 한다.



2. 다음의 환자(경우)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소화성궤양 환자


2) 중증 혈액이상 환자


3) 중증 간장애 환자


4) 중증 신장애 환자


5) 중증 심부전 환자


6)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대한 과민반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7) 아스피린이나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COX-2 억제제 포함)에 


대하여 천식, 두드러기, 알레르기 반응 및 그 병력이 있는 


환자(이러한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투여 후 치명적인 중증의 아나필락시스모양 반응이 드물게 보고되었다.)


8) 관상동맥 우회로술(CABG) 전후에 발생하는 통증의 치료


9) 수유부


10) 임신 말기의 임부


11) 크론병 또는 궤양성 대장염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



3. 다음의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소화성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혈액이상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3) 간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4) 신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5) 체액저류 또는 심부전 환자


6)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7) 기관지 천식 환자


8) 고령자


9) 과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장기투여로 소화관 손상을 받았던 환자로서, 


이 약의 장기투여가 필요하여 미소프로스톨 등으로 소화성궤양 


치료를 병행하고 있는 환자(미소프로스톨에 의한 치료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소화성궤양도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하는 중 충분히 경과를 관찰한다.)


10) 고혈압 환자




11) 이뇨제 또는 ACE 억제제를 투여 중인 환자


12) 임신 초기, 중기의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


그외 이상 반응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면 사용설명서를 참조하세요.



솔레톤정 사용설명서 


솔레톤정 설명서.pdf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