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표준몸무게 계산기, 남자 여자 표준몸무게 활용방법


오늘은 표준몸무게 계산기 활용을 위해 남자 표준 몸무게, 


여자 표준 몸무게 등을 알아볼텐데요, 


표준몸무게는 대한비만학회에서 만든 체지방율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절대적 가치를 제공하는 의학적 기준이라기 보다는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심리적 기준이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즉, 참고 정도로만 하고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보조 지표 정도로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사람들마다 건강 몸무게가 다르게 때문이죠.




이런 개개인의 전체 표준을 위한 기준 정도다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표준몸무게 계산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에 "계산기"로 검색해 보면 비만도 계산기가 있습니다.


비만도계산기 외에도 많은 유용한 계산기가 있네요.



남자 177cm, 72kg으로 계산해보니 22.98로 간신히 표준 몸무게에 들어오네요.



여자의 경우 165cm, 53kg으로 계산해보면 넉넉히 정상범위 내에 들어오네요.



이제부터는 표준몸무게 계산기의 기초가 되는 BMI가 무엇인지와 어떻게 계산되는지 먼저 알아봅니다.


BMI 


비만도와 관계있는 체질량 지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국제적으로 통용됩니다.


BMI 지수로 비만 여부를 판별하는 나라별 범위 기준은 다릅니다.


예를들어,  BMI 25 이상 이면 비만이라고 하는 한국에 비해 일본은 22만 넘어도 비만으로 속합니다.


BMI 측정 방법  

 

BMI = 체중 (kg) ÷ 신장 (m)의 제곱

 

예) 체중이 55kg, 신장이 165cm의 경우라면, 


55kg ÷ (1.65m × 1.65m) = 20.2입니다.(아주 양호하군요.)



BMI 적정 비만도


연령대

 마른형

표준형

과체중형

비만증

병적비만증

20대

17.9이하

18~23

24~25

25이상

30이상

30대

18.5이하

18.5~24

25~30

30이상

40이상



표준 체중 계산


BMI = 22를 일반적으로 표준 체중으로 놓고 BMI 식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표준 체중 = 22 × 신장 (m)의 제곱


예) 신장이 165cm의 분이라면, 22 X 1.65 × 1.65 = 59.9kg 이네요.


남녀에 따라 체형, 골격에 따른 달라질 수 있습니다.

 

더 간단하게 표준 체중 계산한는 방법은 


-키가 150 미만인 경우에는  신장-100 = 표준체중


- 키가 150 이상인 경우에는 (신장-100) X 0.9 = 표준체중 



여자 표준몸무게 VS 남자 표준몸무게 비교표

 



체지방 비율 계산


단순하게 표준몸무게보다 중요한 것이 체지방율입니다.



바디 지방 % = 체지방 질량 (kg) ÷ 체중 (㎏) × 100


요즘 많이 쓰이는 체지방계를 활용하면 쉽게 체지방 율이 나오지요.


체지방은 몸이 남은 에너지를 지방으로 바꾸고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몸 속에 축적하는 지방입니다.


체지방의 역할은 몸과 내장을 지켜 보온하고 호르몬 균형을 조정하기 위한것이죠.


어느 정도의 체지방은 필요하지만 현대인의 대부분이 과해서 문제가 됩니다.


너무 많으면 비만의 원인이 되지만 너무 부족한 경우에도 특히 여성에게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 부인과 문제가 생길 위험도 있다고 합니다.


일본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진 미용체중까지 포함된 표입니다.


일본은 BMI에 따른 비만기준도 엄격한데 여기에 미용체중까지 적용하네요.


건강에 아주 안좋은 개념이긴 하지만 참고만 해보죠.



아마도 이글을 보고 계신분은 건강에 관심이 많거나


다이어트 혹은 운동중인 분일 가능성이 높겠네요.


건강을 위한 표준몸무게 계산기 이용을 하시기 바랍니다.




남자 표준몸무게, 여자 표준몸무게라는 것이 결코 절대적 기준이 될 수 없음은 


이미 말씀드렸지요.


특히, 미용체중이라든지 특정 직업군을 위한 표준몸무게는 더욱이


일반인이 따라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표준몸무게 계산기 활용으로 더욱 건강해지자고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