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의금 봉투 쓰는법 혹은 조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사회 생활을 처음 하는 입장에서는 상가집 소식을 듣게 되면 당황하게 됩니다.  상가집 방문을 하면 어떻게 인사해야하고 부의금 봉투 쓰는법 은 어떻게 되는 지 옷은 양복을 입고 가야하는지 등등 생소한 예의에 대해서 생각해야할 것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돌아가신 분과 상주에 대한 조의를 가지고 있다면 큰 문제는 없지만 기본적인 상가집 예절은 알고 지키는것이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부의금 봉투 쓰는법 은 상가집 예절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문화와 정서상 경사를 놓쳤을 때는 그때 한번 서운하고 말지만 조사는 꼭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나에게도 그런 조사가 생겼을 때 많은 사람들의 방문을 받게 되면 큰 위로가 됨을 깨닫게 되지요.  

요즘은 부의금 봉투 쓰는법 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이미 인쇄되어 있는 봉투를 선택하게 됩니다.  주로 첫번째 있는 부의 봉투를 쓰게되지만 근조, 추모, 추도, 애도, 위령등의 한자가 쓰여있는 봉투를 보게될 수도 있습니다.  

모두 비슷한 뜻으로 의미상의 큰 차이는 없습니다. 실제로는 부의와 근조가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것 같습니다.

이미 인쇄되어 있는 부의금 봉투가 없다면 직접 해당 한자를 보고 써야겠지요.

어려운 한자는 아니므로 싸인펜으로 몇번 연습하고 쓰게 되면 별문제는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부의금 봉투 쓰는법 다음으로는 본인의 소속과 이름을 봉투 뒷면에 쓰는 것이 남았습니다.  해당 상주가 알아볼 수 있도록 왼쪽 하단부에 소속과 함께 이름 혹은 관계와 이름을 세로로 쓰면 됩니다.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주와의 관계 혹은 소속을 쓰면 확실한 구분이 됩니다. 

이름과 소속은 굳이 어려운 한자로 쓸 필요가 없습니다.  대부분 상주를 도와서 친척등이 부의금 봉투를 정리하며 금액을 별도로 기재해서 상주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요즘은 한자를 잘 못 읽는 젊은이가 그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같은 이유로 가능하면 한글도 흘려쓰지 말고 정자로 쓰는것이 중요합니다.

조의금 단위에 대해 알아봅니다. 부조금액은 양의 기운을 의미하는 숫자인 홀수 즉, 3만원,5만원,7만원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단, 10만원의 경우 짝수이긴 하지만 홀수인 3과 7이 합해져있다고 여겨져서 많이 쓰입니다.  십만원이 넘어가는 경우는 10만원 단위로 맞추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조문절차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상가집 종교와 문화에 따르면 됩니다. (상주에게 물어보거나 앞선 사람을 보고 판단해 허용되는 조문 방식을 택하면 됩니다)

조문을 가게 되면, 조객록에 서명을 하고 분향이나 헌화 절차를 거칩니다. 

그런 다음에 절을 하게되는데 묵념이나 헌화로 대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상주와 맞절을 하고 조문을 마치게됩니다.

부의금 봉투 전달은 조문을 마치고, 조객록 작성을 하면서 그와 동시에 전달하게 됩니다. 먼저 조의금을 전달하고 이후 분향을 하기도 합니다.

이상으로 부의금 봉투 쓰는법과 간단한 상가집 예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