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민방위 연차 조회 및 훈련일정 조회 쉽게 정리


군인 사병의 월급을 획기적으로 높인다는 반가운 소식이 들리네요.


민방위 연차 조회 와 훈련일정을 알아보는 방법을 살펴볼텐데요.


남자들의 4대의무 중 국방의 의무는 군대를 전역하고도 계속됩니다.




전역하고 바로 예비군에 편집되서 훈련을 받습니다.


예비군 신분에서는 말그대로 예비군이기 때문에 유사시에 바로 군대로 


끌려갈 수 있는 자원입니다.


8년간의 예비군 훈련을 마치고 나면 바로 민방위 연차 조회를 할수 있는 민방위


신분으로 변경되고 민방위훈련을 받게 됩니다.




이때부터는 동네를 지키는 개념으로 바뀌게 되는거죠.



민방위 연차 조회 방법


민방위부터는 사복을 입고 교육을 받게 되므로 그 횟수를 세면됩니다.


민방위 연차 조회 계산법


현재의 년도(예, 2017년) - 제대한 해(예, 2005년) - 8년 = 민방위 4년차


계산의 핵심은 8년간의 예비군 기간을 빼는 거죠.


그럼 이제 민방위 훈련일정 조회하는 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민방위 연차 조회 및 훈련일정 조회 - 사이트 찾기


네이버에 "민방위"라고 검색하면 국민재난안전포털 민방위 사이트가 나옵니다.



네이버에 검색을 하면 민방위 사이트 뿐만이 아니라 민방위에 대한 정보들이 조금 나옵니다.


민방위 연차 조회 및 훈련일정 조회 - 민방위 정의


평성연령 및 교육시간을 보시면 40세 이하, 연 4시간(1회) 실시가 중요하겠지요. 


민방위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네이버에서 보여주는 겁니다.



교육기간

· 4시간 (1)

교육시기

· 교육대상 및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연중 운영*선거 기간 중 민방위 교육 미실시

교육대상

· 대장, 대원 ( 1 ~ 4년차 ), 전문요원 등· 5년차 이상 ~ 40 : 1회 비상소집훈련 ( 1시간 )

편성대상
(민방위기본법 제18조 제1)

· 20세가 되는 해의 1 1일부터 40세가 되는 해의 12 31일까지 대한민국 국민인 남자로 편성*법령상 나이는 만 나이를 기준함

교육내용

· 민방위 제도, 안보 및 재난, 생활안전 등 체험.실습교

교육방법

· 지역실정에 맞게 지방자치단체 자율 운영


민방위 연차 조회 및 훈련일정 조회 - 훈련일정


연간 총 5회 실시되는 훈련일에는 민방공 대피, 재난 대비, 민방위 시범훈련, 종합훈련등으로 구성됩니다.


"교육일정조회"를 선택하면 바로 민방위 훈련일정 을 지역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민방위 연차 조회 및 훈련일정 조회 - 교육일정 검색


혹은 민방위 사이트로 들어와서 민방위 >> 교육일정을 선택해도 됩니다.




민방위 연차 조회 및 훈련일정 조회 - 지역별 교육일정


해당 행정구역을 선택 후 교육시간을 평일, 야간, 주말로 선택해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구, 동을 선택안하고 간단하게 서울특별시만 선택하고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민방위 교육은 주민등록지가 아닌 현 거주지에서도 받을 수 있지요.


거주지 지역의 교육일정을 검색하여 거주지 관할 시.군.구청 민방위 담당자에게 


해당 교육일정에 대해 확인한 후에 교육당일 신분증을 소지하고 참석하면 됩니다.




이상으로 민방위 연차 조회 하는 간단한 방법과 


민방위 훈련일정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검색하는 여러분은 민방위 몇년차 이실까요.


5년차부터는 그동안의 4시간에서 1시간으로 변경되고 


소집여부만 체크하는 훈련으로 변경됩니다. 편해지는 대신 나이를 먹어감을 느끼죠.^^

반응형
댓글